
AI 이미지를 ‘저장’하는 20대 vs ‘공유’하는 60대

세대별로 확연히 갈린 AI 이미지 활용 패턴

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,
생성형 AI 이미지 활용 방식은 세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습니다.
연령대 주요 활용 방식비율
| 20대 | 이미지 저장 | 37.7% |
| 60대 | SNS·프사 공유 | 32.8% |
"젊은 세대는 개인화에,
중장년층은 표현과 관계 공유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"
‘지브리풍’이 인기 있는 이유는?

- 캐릭터화된 표현 → 감정 전달 용이
- 유년기 향수를 자극하는 스타일
- AI 이미지 중에서도 가장 감성적 접근이 쉬운 스타일
“지브리풍은 기술을 감정으로 번역하는 필터입니다.”
AI 이미지, 어디에 가장 많이 쓰일까?

활용 목적 전체 응답률
| SNS·메신저 프로필 | 52.4% |
| 개인 보관 | 34.1% |
| 프레젠테이션·문서 삽입 | 21.6% |
| 블로그·콘텐츠 제작 | 17.2% |
"단순 저장에서 콘텐츠 제작 도구로의 전환이 관건입니다."
사용자는 만족하지만, 우려도 여전하다

- 85.9% 만족 → “편리하다”, “새로운 표현이 가능하다”
- 하지만, 73.0% “생각이 줄었다”
- 64.4% “AI에 지나치게 의존할까 걱정된다”
"AI는 도구지만, 그 도구에 너무 의존하지 않게
‘생각하는 힘’의 균형이 필요합니다."
글쓰기·번역·일정관리까지…세대별 AI 사용 현황

기능 전체 20대 60대
| 정보 검색 | 81% | 85.2% | 78.1% |
| 글쓰기/다듬기 | 51.1% | 68.3% | 31.0% |
| 이미지 생성 | 51.0% | 57.6% | 44.8% |
| 번역 | 42.1% | 39.3% | 48.0% |
"AI의 텍스트 기능은 젊은 층이 주도,
이미지와 번역은 전 세대 공통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"
우리가 진짜 고민해야 할 질문

- AI는 표현 도구인가, 대체 도구인가?
- 우리는 AI를 통해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게 되는가, 덜 생각하게 되는가?
- AI가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스스로 질문하고 의심하는가?
“기술보다 중요한 건,
우리가 그 기술을 어떻게 해석하고 사용하는가입니다.”